

남정환
2021-06-05<일반적인 것과 비정상적인 것에서 나오는 모호함에 대하여>나의 작업은 주체인 나로 시작해 타인과 연결하는 매개체가 된다. 우선 나에 대해 이야기하자면 나는 현재 ‘경계선 지능 장애’를 가지고 있다. 경계선 지능 장애란 지능지수가 지적 장애인과 비장애인 사이의 경계선으로 분류되는 상태를 말한다. 지적 장애 만큼은 아니지만 비장애인보다는 삶에 많은 지장을 받을 수 있다. 이는 장애를 가지고 있어도 법적으로는 장애를 인정 받지 못하는 처지가 되었다.
나란 존재는 일반적이지도 않고, 일반적이라고 하기에는 사람들이 인정치 않는다. 정서적인 부분에서도 정상적인 것과 비정상적인 것 사이에 놓여져 수 많은 감정이 복받쳐 오르듯 혼란을 느낀다. 과연 내가 비정상일까, 아니면 내가 살고 있는 세계가 비정상일까. 복잡한 삶 속에 불편하고 불쾌하지만 수응 해야 하는 감정들. 사람들과 살아가면서 느끼는 복잡한 감정들. 이러한 여러 생각들이 내 작업에 모호함을 띄우게 한다.
경계선의 삶 속에서 살아오며 느낀 아픔이나 트라우마를 작업을 통해 드러낸다. 더 나아가 마음 속에 감춰진 감정과 모습을 끄집어내는데 집중을 하고 있다. 형태가 뭉개진 인간의 모습은 깊은 내면의 숨겨진 아픔을 보여준다. 또한 희박하게 존재하지만 보이지 않는 어떠한 것들은 그려진 텍스트를 통해 포착된다.


김동택
2022-11-01"한 없이 푸른"어른이 된다는 것은 추억이 다르게 적히는 것에 익숙해지는 것이다. 라는 말처럼
우린 각자의 추억의 컬러를 지니고 살아오고 있지만 감정과 추억을 담아낼 기억의 공간에 담겨지고 벤 색은
아마도 이렇게 바람에 흘러가는 듯한 푸른색이 아니 었을까 한다.
유지은작가는 그런 인생의 애틋함을 색으로 잘 담아내고 있다.
그는 색상 또는 질감으로 우리, 인간들이 할 수 있는 감정의 공통분모를 표현했다.
유지은작가는 한국의 샤갈같은 존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아니 존재를 뛰어넘는 다른 존재가 될 것을 믿어의심치 않습니다.


박상순
2020-08-07예술은 현재 우리가 안고 있는 다양한 사회병리현상을 치유하고, 그 구성원들을 회복시킬 수 있는 유일한 대안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누구나 손쉽게 예술을 접하고 향유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지원해야 합니다. 예술은 어렵게 공부하는 것이 아닙니다. 보이고 들리는 대로 느끼며 그 과정에 참여하는 공동의 작용입니다. 예술이 사람을 아름답고 행복하게 합니다.

ArtSanta33
2023-02-06컬렉터라고 하기에는 거창하지만 매년 작품을 소장을 하면서 천천히 컬렉터의 길을 걸어가고 있습니다.처음에는 집의 가치를 높이고 싶었고 자라나는 자녀에게 전시장의 느낌을 항상 주고 있었으며 항상 가족에게
좋은 느낌과 기운을 주는 작품을 소장하고 싶었습니다.
이제는 자녀에게 좋은 작품을 증여해주고 싶네요~~
** 소장작품 : 비오최작가님, 김성국작가님, 김보영작가님, 이외수작가님, 구경림작가님, 신응작가님 외 다수
** 소장조각 : 쇼나조각 2점 등